강박증의 증상과 치료법 (강박증 테스트와 불안장애)ㅣ강박장애 원인

특정행동을 하지 않으면 마음이 불안해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강박증이란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특정 생각이나 충동, 이미지가 갑작스럽게 반복적으로 떠오르거나 한가지 행동에 집착하고 그것에 비정상적으로 몰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대인들은 누구나 어느 정도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습니다. 강박증은 그런 정신질환중 하나로, 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강박증 환자는 약 3만명에 달합니다. 또한 매년 약 5%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강박장의 증상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결벽증입니다. 결벽증은 자신이 세균에 오염됐고 이로 인해 건강이 안 좋아질 것 같아 불안한 마음이 들어 자주 손을 씻거나 샤워를 함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키려고 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외에도 양치를 오래한다거나 가스밸브,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아 집에 불이 나거나 물난리가 날수 있다는 불안을 느껴 어느 정도 수준이상으로 반복 점검을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것을 확인강박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사람들이 강박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완벽주의자처럼 보일수도 있으나, 강박증은 자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그 생각에 대해서만 반응한다는 것이 완벽을 추구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강박증은 왜 생기는걸까요? 강박증은 다양한 원인 때문에 발생하지만 심리적인 원인과 생물학적인 원인이 모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박증상은 사람 뿐 만이 아니라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인 원인의 경우 뇌 이상 소견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는데, 예를 들어 대표적인 뇌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한편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강박증상이 악화되고, 환경이 호전되면 강박증상이 완화되는 양상이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강박증상에 심리적인 원인도 관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강박증상은 인지 및 행동치료와 약물치료를 통해 치료합니다. 이 외에도 정신분석적치료가 강박증상을 조절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약물치료는 인지치료나 행동치료가 효과가 없고, 경증을 넘어서는 수준의 강박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90% 정도의 환자들이 증상이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지치료행동치료를 병행하는 경우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